문서자료
자료실 > 문서자료
이름 김창덕 이메일 guso9662@daum.net
작성일 2018-05-08 조회수 1592
파일첨부 1920년대 북부지방 아나키스트단체활동(국민18.5.8).hwp
제목
시민강좌 2강 1920년대 북부지방 아나키스트들의 독립운동-김명섭-

1920년대 북부지방 아나키스트들의 독립운동

 

김 명 섭

(단국대)

<목 차>

. 한국의 아나키즘 수용과 초기 단체

1. 동아시아의 아나키즘 수용

2. 1920년대 아나키스트들의 단체활동

. 1920년대 북부지방 한국아나키스트 단체와 인물

1. 북부지방 아나키스트 단체활동

2. 주요 아나키스트의 활동

 

 

. 한국의 아나키즘 수용과 초기 단체

 

1. 동아시아의 아나키즘 수용

공산주의와 아나키즘의 이념비교

구분

공산주의

아나키즘

조직이론

중앙집권주의, 공산당 절대복종

개인존중, 절대자유, 자유연합주의

정치운동

의회정치 인정, 노동자혁명정당

의회정치 부인, 직접행동 중시

혁명전략

부르조아프롤레타리아혁명

인민전선전술프롤레타리아정권

1단계 : 사회혁명

2단계 : 민족해방 사회혁명

혁명전술

노동자정당 의회진출권력쟁취

지역별, 직종별 자치조직의 연합행동

조직운동

전위정당 중심, 대중단체 지도

아래로부터 위로, 주변에서 중심으로

주요 이론가

마르크스, 레닌, 스탈린

푸르동, 바쿠닌, 크로포트킨, 촘스키

. 일본

- 1901년 사회민주당 창당 : 보통선거, 노동조합법 및 단결권 보장

* 1902년 도쿄제국대 철학과 학생 煙山專太郞근대무정부주의번역소개

- 1904平民社 러일전쟁 반전운동 1907년 아주화친회 한국침략 반대

- 1910幸德秋水 12명 대역사건 사형

- 1922년 일본노동조합연합, 1923년 관동대지진에 大杉榮과 노조간부 학살

- 1926년 흑색청년연맹(순정아나키즘), 전국노동조합자유연합회(생디칼리즘)

- 1933년 일본무정부공산당 35년 검거로 와해, 90% 전향

- 1946년 일본아나키스트연맹 결성, 일본자치동맹(순정 아나) ; 농촌자치운동

- 1951년 일본아나키스트연맹(생디칼리즘) : 반핵, 반전운동

* 1988년 아나키스트연맹 재건 : 생활협동조합, 교육, 반핵, 환경운동,

 

. 중국

- 1907년 도쿄 아주화친회 張繼?劉師培 天義報발간 : 남녀평등, 빈부균등

- 1907년 파리 李石曾·吳稚暉 新世紀발간 : 정치·사회혁명, 혁명교육

- 1912廣州 劉師復 民聲발간 : 자본주의 타도, 청빈과 도덕실천 강조

- 1919년 상해 進化社 : 新村주의, 가족제도철폐, 무정부 공단주의,

- 1921년 중국공산당 창당 - 중국국민당 지도부로 분열

* 1922蔡元培·魯迅·巴金 상해?북경에 世界語(에스페란토)학회 ; 무국가주의

- 1924년 중국국민당에 李石曾·吳稚暉·蔡元培 참여 - 반공 민생혁명

- 상해 노동대학, 천주 민단편련처 추진실패, 국공내전 격화로 아나 몰락

* 중국 공산당의 인민민주주의, 국제주의에 사상적 토대

 

2. 1920년대 아나키스트 단체활동

 

. 일본

- 1905년 신채호 幸德秋水 저작 섭렵, 1907년 아주화친회(趙素昻) 참여

- 1910년대 재일유학생(나경석·정태신·황석우·원종린) 大杉榮 등과 교류

- 1920년 조선노동공제회 공제발간, 흑노회 결성

- 192111월 흑도회 창립 1922년 북성회(공산계) - 흑우회(아나계) 분화

- 19239월 일왕암살 시도 : 박열 23년 복역, 金子文子 옥중순국

- 19249월 재건흑우회, 1927년 조선자유노동자조합, 동흥노동동맹(3천명)

- 흑우연맹, 흑기노동자연맹, 조선인신진회, 오사카 자유노동자연맹(~1938)

 

. 중국

- 1919년 의열단 창단 의열투쟁 : 행동에 의한 선전, 허무주의

- 1923년 신채호+류자명 <조선혁명선언> : 파괴와 건설론

- 1924년 이회영·이을규·류자명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결성 <정의공보>

- 1925년 민국대학 유기석.심용해 흑기연맹, 동방아나키스트연맹 추진

- 상해노동대학, 천주 민단편련처운동, 신민부 개편 : 독립기지 건설

- 동방아나키스트연맹, 남화한인청년연맹 : 국제연대

 

. 국내 (남부지역)

단체명

결성 시기

지역

주도인물

주요 활동

흑노회

1923. 3

서울

이윤희,이강하,김중한

?흑우회와 연계 출판선전

?대전 농부대회, 선언문 채택

흑기연맹

1924. 3

서울

충주

서상경,홍진유.신영우 이복원.한병희 10

?창립취지서 작성

?전조선아나키스트대회 시도

진우연맹

1925.9.29

대구

서동성,방한상,신재모

서학이,하종건 20

?학술연구단체 표방

·흑색청년연맹 가입교류

창원 흑우연맹

1928. 5

창원

김형윤,조병기,김산

?독서구락부 조직

 

충주 문예운동사

1929. 2.18

충주

서상경,권오순

?출판사 설치

 

우리계宇利契

1929. 5.5

제주

조병희,조대수

?독서토론회 개최

?운동자금 공동출자

* 이강하 옥중병사(1929.7.1.), 홍진유·이복원 고문후유증 사망(1928.5),

김정근 고문후유증 사망(1928.8.6.)

 

1924년 당시 한국독립운동계 사상적 구분

구분

민족주의계

공산주의계

아나키즘계

중심인물,

상해 임정

- 이승만?안창호

한인사회당, 조선공산당

- 이동휘?박헌영

의열단, 재중무련 -

이회영?신채호?류자명·박열

독립방략

자치론, 외교론, 준비론

전위정당 운동

민중직접혁명, 무장투쟁

조직노선

대통령?행정부 중심

철의 규율 공산당 중심, 코민테른 지도

자율자치조직, 자유연합주의

투쟁노선

외교독립론, 실력양성론

무장투쟁, 노동자 파업

의열투쟁, 국제연대투쟁

 

. 1920년대 북부지방 아나키스트 단체와 인물

 

1. 북부지방 아나키스트 단체활동

단체명

결성 시기

지역

주도인물

주요 활동

본능아연맹

1927. 4.1

원산

이향, 한하연, 조시원 등

?청년노동단체 지도

?공산계와 대립

함흥정진청년회

1927. 7.

함흥

김신원, 고순욱, 고성희 80

?함흥자연과학연구회 조직

?자유노조,소년회 조직

노동자자유동맹

1927. 9. 8

원산

김연재 등

?조합 강령 체결

관서흑우회

1927. 12. 22

평양

이홍근,최갑룡 등 20여 명

?농촌운동사, 노동조합 조직

?조선공산무정부주의자연맹

자유회

1927. 8. 8

강원도 이천

김영 등

?청년 단체 지도

흑전사

(일성단)

1928. 3

평양

김호구, 오병현, 김용조, 이학의

?잡지 ????흑전???? 발간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1929. 11.1

평양

이홍근,최갑룡,조중화,유림

·강령채택, 지역책임자 지정

 

단천흑우회

1929. 4

단천

김용삼, 조중복 등

?청년노동단체 조직

?사회생리학연구회 창립

안주흑우회

1929. 4

안주

김일대, 안봉연 등

?사회사상연구그룹 조직

덕천흑우회

1930. 11. 8

평양

 

?창립 대회 개최

* 관서흑우회(아나코 생디칼리즘) 안주흑우회(순정아나키즘)

*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강령

- 현재의 국가제도를 폐지하고 코뮨을 기로로 자유연합에 의한 사회조직으로 변혁할 것

- 현재의 사유재산제도를 철폐하고 지방분산적 산업조직으로 개혁할 것

- 현재의 계급적 민족적 차별을 철폐하고 전 인류의 자유·평등·우애의 사회건설을 기함

 

2. 주요 아나키스트 활동

 

. 유우석(柳愚錫, 1899.5.7.~1968.5.28.)

- 충남 천안 유관순 오빠, 부인은 강원도 양양군 만세 주도한 조화벽

- 1919. 4.1 만세주도로 공주감옥에 투옥, 이윤희·이동순 교류

- 원산 이주 1926년 원산청년회와 대립 상해치사로 구속 3년형, 정당방위 무죄

 

. 최갑룡(崔甲龍, 1904.5.29.~1998.1.14)

- 1924년 일본 도쿄에서 이홍근 등과 흑우회 가입

- 1927년 관서흑우회 조직, 조선무정부공산주의자연맹 조직

- 1931년 체포, 징역 5년형, 해방 후 독립노농당 당무부장, 자주인연맹 대표

 

. 채은국(蔡殷國, ? ~1945)

- 17세 상경 신문기자, 1928년 관서흑우회 대표로 신채호 공판 참관

- 1934년 제일루사건으로 이을규·정규 등과 검거, 3년 복역 *채명신 장군 부친

 

. 이향(李鄕, 1902 ~ 1931?)

- 1920년 동호문단 창설, 한설야 등과 지상논쟁

- 1923년 치안유지법 위반 1개월 징역, 26년 원산 공산주의자와 대립

- 1927년 본능아연맹 창립, 경성 조선자유예술동맹(

이전글 시민강좌 4강 재중국 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과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의 아나키스트들
다음글 시민강좌 수강신청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