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47
- 4서울 중구 예관동에서 이정규, 유정렬 등 해방 후 「자유사회건설자연맹」을 조직하고 「조선농촌자치연맹」 및 「노동자자치연맹」 발족에 참여한 10여 인사가 모여 ‘우리 자신을 돌이켜 자기를 아는 것이 신생 한국의 가장 기본적이고 긴급한 과제’라는 결론 아래 「국민문화연구소」를 창립하기로 합의.
-
- 1948~1950
- 20여 명의 청년들을 중심으로 「설형회雪螢會」를 결성하고 문고설치, 교양집회, 세미나, 강연회 등 일련의 문화교양운동을 전개. 유정렬 선생의 지도하에 영세민 자구책의 일환으로 축산장려운동을 시작, 서울 동대문 밖 휘경동에 부화장을 설치하여 닭, 오리 등의 병아리 보급 활동 추진.
-
- 1951~1953
- 1‧4후퇴 후 부산 주둔 유엔군 부대에 종사하는 한인 노무자들을 대상으로 민족적 긍지 환기와 자질 향상을 위한 문화교양운동을 전개.
-
- 1955~1957
- 「환력학원歡力學院」이란 간판 아래 서울역 주변 불우 청소년들에 대한 사회교육 및 생활지도 사업을 전개.
-
- 1958
- 8윤리교양지 월간 『신성新聲』 간행.
「축산협동촌 추진위원회」를 구성하고 축산 협동촌 건설을 입안, 추진.
-
- 1960
- 4‧19혁명 후 대학생 농촌활동을 촉구, 장려하는 집회를 서울대, 명지대 등에서 개최하여 각 대학생들을 훈련시켜 전국 농촌에 파견, 마을 단위로 농촌 청년들을 계도하여 문고, 문화반 등을 조직하게 함으로써 자주협동적 농촌운동의 교두보 구축 활동을 전개.
-
- 1962
- 4서울 중구 저동 2가 임시 사무실에서 재발족을 위한 창립총회를 개최.
초대 회장에 이정규 선생을 선출.
-
- 1964
- 3문교부로부터 사회단체 제1호 국민문화연구소 등록증을 교부 받음.
- 5‘국민문화교양강좌’ 개최 개시, 이후 1989년에 이르기까지 150여회 실시.
-
- 1965
- 3「진건수산授産센터」(경기도 양주군 진건면) 건설계획 및 기금조성 요강을 결정, 수산센터 조성에 착수.
-
- 1966
- 3서울 종로구 낙원동 낙원빌딩 502호로 사무실 이전.
『국민문화회보』 창간호 간행.
- 0농촌문제 해부 강좌(학생 향토활동 지원을 위한), 여성운동 해부 강좌개시, 사회사상 강좌, 한문‧서예 등 전통문화 강좌 등을 개시.
-
- 1967
- 5경기도 옹진군 용유면 등 수개 지역에 수산센터 건립을 추진.
-
- 1968
- 2남양주 일대 스웨터 가내공업단지 조성을 목적으로 경기도 미금면 금곡리에 「금곡수산기술훈련원」 설립을 결의, 추진하여 9월 개원.
-
- 1970
- 6월 사단법인 인가신청서를 문공부에 제출 9월 설립인가를 받고 9월 서울지방법원에 「사단법인 국민문화연구소」 등기를 완료.
9월부터 1971년 11월까지 연 12회에 걸쳐 ‘국민문화 연구 워크숍’ 실시.
-
- 1971
- 11농촌운동자 간담회를 YMCA 다락원에서 개최하여 농촌의 자주 자발적인 협동역량을 북돋울 대책을 협의하고 가칭 「전국농촌운동자협의회」 구성을 결의.
-
- 1972
- 1「전국농촌운동자협의회(가칭)」 회보 『통신』 창간호 간행
- 3「전국농촌운동자협의회」 창립준비회의 개최.
-
- 1973
- 1서울시 종로구 공평동으로 사무실 이전.
- 3「전국농촌운동자협의회」 창립총회 개최.(이화여대 다락방 회의실)
-
- 1974
- 3농산물 공동 출하와 구매 활동을 위한 「실험소비조합」(일명 생활협력위원회)을 결성, 활동을 개시.
- 6우관 이정규 선생 회혼기념 문집 『우관문존又觀文存』 발간.
-
- 1975
- 3월부터 연 6회에 걸쳐 ‘사회사상 강좌’ 실시.
-
- 1977
- 1「삼한산우회」를 결성, 자연보호 및 문화발굴 활동을 개시.
-
- 1978
- 2제2대 회장에 이방석 선생 선임. 이정규 초대 회장을 명예회장으로 추대.
4월부터 연 8회에 걸쳐 ‘문화문제 워크숍’ 실시.
- 5전임 이정규 회장이 사재( 잠실주공아파트 335동 104호)를 본회에 기증.
-
- 1979
- 2서울 종로구 견지동으로 사무실 이전.
3월부터 한문, 서예, 묵화, 꽃꽂이, 단소 등 전통문화교육을 개시하여 1992년까지 계속 실시.
-
- 1980
- 1연 9회에 걸쳐 ‘동양사상 강좌’ 실시.
- 280년대의 농촌정책 재정비와 헌법 및 농림법령 개정을 위한 공동 연구기관 설치를 목적으로 전국농촌단체 연석 간담회 개최.(서울 프레지던트 호텔)
- 4전국농민단체 공동 주최 ‘헌법 및 농림관계 법령개정 공청회’ 개최.(전국경제인연합회 국제회의실)
- 11연 6회에 걸쳐 ‘젊은이들을 위한 결혼준비’ 특별강좌 실시.
-
- 1982
- 2서울 종로구 사직동으로 사무실 이전.
- 4연 11회에 걸쳐 ’가정생활과 여성 강좌’ 실시.
-
- 1984
- 12명예회장 우관 이정규 선생 별세(향년 88세)
-
- 1987
- 3서울시 서대문구 영천동으로 사무실 이전.
- 6창립 40주년 기념 서화축전 개최.(세종문화회관)
- 10초대회장 우관 이정규 선생 탄신 90주년 및 본회 창립 40주년 기념 자유사회운동 세미나 개최.(한국언론회관)
-
- 1988
- 5「자유사회운동연구회」를 결성하여 국민문화 교양강좌를 사회사상 강좌로 기획, 운영하기로 하고 자유사회운동 세미나 및 자유사회사상 연구집회를 개최.
- 11「우관이정규선생기념사업회」(회장 김용훈) 발족, 제1회 우관상 시상식(출판문화회관: 수상자 이문창) 개최.
-
- 1989
- 2본회 창립이사 유정렬 선생이 사재(경기도 화성군 반월면 속달리 임야 3,000평)를 본회에 기증.
- 10민족문고 설치를 위해 중국 만주 지역 한인학교에 도서보내기 운동 전개.
-
- 1990
- 2제3대 회장에 이문창 선생 선임.
-
- 1991
- 4서울 종로구 동숭동 우당기념관으로 사무실 이전.
-
- 1995
- 7「자유사회운동연구회」 기관지 『아나키즘 연구』 창간호 간행.
- 8광복50주년기념 한국자유사회운동 국제학술회의 개최.(우당기념관 강당)
-
- 1997
- 10우관선생 탄신 100주년 기념 유품전 겸 창립 50주년 기념 미술전(서대문독립공원 독립관)
- 11본회 창립 50주년 기념 학술세미나 개최.(서대문독립공원 독립관)
주제: 한국사회와 아나키즘
-
- 1998
- 6『국민문화연구소 50년사』 발간.
-
- 1999
- 4「전국농촌운동자협의회」 재건 총회 개최.(회장 문수환, 부회장 서효석, 윤인희)
-
- 2000
- 12서울 종로구 연건동 34번지로 사무실 이전.
-
- 2001
- 1국제연대를 위한 자유학교 개최.(매주 일요일: 본회 회의실)
주제: 가족제도, 성, 여성운동, 채식운동, 항의인가 저항인가? 등
-
- 2002
- 7박열, 가네코 후미코 추모 한일대학생 수련회(문경청소년회관)
-
- 2003
- 2제4대 회장에 조광해 선생 선임.
-
- 2004
- 「자유사회운동연구회」를 「자유공동체연구회」로 전환, 발족하여 월 1회 역사문화강좌와 자유공동체 학습모임, 연 1회 한‧일 자유공동체 워크숍을 개최하고 기관지 『아나키즘 연구』를 계속 발간.
-
- 2007
- 3제5대 회장에 장 윤 선생 선임.
- 11국민문화연구소 창립 60주년 기념식 개최.(성균관대학교 600주년 기념관)
- 11국민문화연구소 창립 60주년 기념 워크숍 개최.(우당기념관)
주제:동아시아 자유공동체의 미래
- 11『우관 이정규 선생 유고집』 간행.
- 12『항일혁명투사 구파백정기』 발간.
-
- 2010
- 3제6대 회장에 엄동일 선생 선임.
-
- 2011
- 12우관 이정규 선생 유묵전 개최.(강남구민회관 갤러리)
-
- 2013
- 3『아나키즘이란 무엇인가』(이문창 지음) 출간
-
- 2014
- 4「한국아나키스트독립운동가기념사업회」발기대회 개최.(우당기념관)
- 8「한국아나키스트독립운동가기념사업회」 창립총회 및 학술세미나 개최.(서대문 독립공원 현충사 강당)
- 12『우관문존』 (한글판) 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