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나키즘이란 무엇인가
-이념적 특징과 현재-
방영준(성신여대 명예교수)
1. 돌아온 도깨비: 아나키즘
* 종래의 아나키즘에 대한 첫인상--무정부주의, 피스톨, 암살, 뒤죽박죽의 자유인
* 나는 왜 아나키즘에 관심을 가졌나--맑스 사상을 연구하면서 아나키즘의 정체에 관심--맑스 사상: 영양 드링크제, 아나키즘: 심심산골의 옹달샘--국민문화연구소 방문--본격적인 관심
* 아나키즘의 정체성--제우스의 경호신 프로테우스(변신술에 강함)--도깨비
* 아나키즘의 지하수와 같은 생명력--지표면과 지하를 넘나들면서 다양한 연출
* 헤밍웨이의 <바다와 노인>의 고기 같은 존재--포구에 도착시는 뼈만 앙상
* 크로포트킨Kropotkin의 표현--“ 아나키즘 사회는 성장해오고 있는 욕구에 따라서 끊임없이 진보하고 항상 재조정되는 사회이다.--단일 경전 없음
* 아나키즘 속에는 환상이 가득 찬 사회인식의 풍요한 영역이 존재
2. 근대 이념으로서 아나키즘은 어떻게 태어났는가?
1) 용어의 문제
* 아나키Anarchie는 매우 오래된 용어--지도자가 없는, 장수가 없는, 키잡이가 없는 선원--플라톤은 민주주주의를 비판하는 용어로 사용
* 아나키가 정치의미로 사용--프랑스 혁명부터 사용--반대자를 비난하기 위한 부정의 용어--무질서, 혼란, 혼돈의 대명사
* 프랑스의 푸르동Proudhon에 의해 정치이념으로 처음 사용(소유란 무엇인가?)--역설적 해석(거대한 혼란과 자유와 연대를 바탕한 질서의 양가적 모순을 즐김)--다다이즘Dadaism적 체취
* 다양한 이름으로 사용--연합주의자Federalist, 상호주의Mutualism, 코민주의, 공동체 주의, 리버테리언
2) 아나키즘의 창시자들
* 위대한 인류의 선각자들은 아나키적 성향이 많음--노자, 석가, 예수, 제논 등 수 많은 인물 거론
* 크로포트킨의 <근대괴학과 아나키즘>에서 주장--아나키즘은 개개의 사상가가 아니라 민중에서 생성--아나키즘의 생명력과 창조력은 민중에서 나옴
* 근대적 아나키즘의 이론적 시조: 영국의 고드윈, 독일의 슈티르너, 프랑스의 프루동, 러시아의 바쿠닌, 크로포트킨,--좀 덜 알려진 인물 다수(말라테스타, 르클뤼, 터커, 웨렌 등)--많은 문헌적 정보 남김
3) 아나키즘의 분광도
* 아나키즘의 유형은 개인의 자주성과 공동체라는 문제를 어떻게 결합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남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고드윈, 슈터르너, 터커, 워렌, 볼프 등--자본주의적 아나키즘, 최소 요구주의자Minimalist, 리버테리언
* 상호주의--프루동이 대표--코뮌과 노동자 협동조합의 대연합
* 집산주의--바쿠닌-- 아나르코 코뮤니즘(공동체주의적 아나키즘), 아나르코 생디칼리즘(조합주의적 아나키즘)
* 상호부조의 공동체--크로포트킨--실증적 아나키스트
* 톨스토이주의, 평화주의적 아나키즘 등 다양
3 아나키즘 정의관의 뿌리
1) 자연론적 사회관
* ‘자연’이라는 개념은 모든 아나키스트들이 공통의 출발점임--아나키즘 정의론의 근원
* ‘합리적’이라는 개념의 허구와 한계를 비판
* 프루동의 질서--권위가 아니라 자연 섭리
* 크로포트킨의 상호부조론--호혜적인 자연관
* 소로우H.D. Thoreau--"신을 자연과 동일시할 수 있고 세상만사를 강줄기가 인도하는 대로 맡겨둘 용의가 있음“
* 생태론적 사회조직론으로 연결
2) 자주적인 개인
* 개인과 자율은 아나키즘 정의관의 중요 원천
* 슈티르너Max Sterner--<유일자와 그의 소유>--극단적인 개인주의자--니체 사상으로 연결
* 개인의 자율성과 자주성의 강조는 미국 아나키즘 운동에 많은 영향을 미침--자본주의적 아나키즘--다양한 논쟁 야기
3) 공동체의 지향
* 공동체는 단순한 지역 공동체 아님--인격적 친밀, 정서적 깊이, 도덕적 헌신, 시간적 연속성 등을 특징으로 하는 사회관계
* 아나키즘의 다양한 이념적 분포--자주적 개인과 ‘공동체’간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다양
*공동체 사상의 기본: 전인 사상+ 평등+박애정신(형제애)
* 복고적 유토피아 사상으로도 나타남--목가적 공동체 구현--원시주의와 유사하게 보일 수 있음
* 개인의 자율성에 바탕을 둔 공동체 구현 방법에 많은 이론 등장--계속 실험 중
* 세계 각지에서 아나키즘 공동체 운동 진행중--<몬드라곤에서 배우자>
4) 권위에의 저항
* “권위를 부정하고 그것과 싸우는 자는 누구나 아나키스트이다”--“분노의 피뢰침(D.Apter)
* 아나키스트의 반란적 기질--혁면보다 반란에 친밀감--까뮈적 성향
* 프루동의 반항 감정은 전 저서를 통해 일관되게 나타남--“백성은 언제나 침묵당하고 코뿔소나 코끼리처럼 교묘하게 사로잡혀 있는 존재”
* 바쿠닌에서는 파괴의 행동으로 나타남--파괴는 창조의 첫 발
* 소로우에게는 <시민 불복종>으로 연결
* 권위의 저항과 불복종 운동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자인 미셸 푸코Michel Foucault로 이어짐--‘정상’, ‘합리성’과 항상 의문을 표시
4. 아나키즘의 현실 인식의 특징
1) 통치기구에 대한 혐오
* 모든 아나키스트--통치기구와 국가에 대한 위구심과 공포 표현
* 프루동--“통치기관이 정의의 자연스러운 기관으로 보는 환상에서 탈피해야”--“인간에 의한 인간의 통치는 노예적 굴종”
* 바꾸닌--“ 백성의 생활을 게걸스럽게 삼켜 먹는 추상물”
* 종교에 대한 위구심도 매우 강함
2) 대의제 민주주의에 대한 불신
* 권위주의적 사회주의만큼이나 부르조아 민주주의 기만성 폭로
* 투표용지의 허구성--인민의 이름으로 인민을 억압하는 교묘한 수단(바쿠닌)
* 대의제 민주주의에 대한 태도는 일관적인 것은 아님--프루동은 출마도 하였음
* 직접 민주주의, 참여 민주주의 주장--매우 선구적인 사유
3) 권위주의적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
* 맑스 사상체계 속에 권위주의적이고, 독재적인 요소가 있다고 봄
* 칼 포퍼K. Popper의 <열린 사회와 적들>을 상기
* 바쿠닌은 “나는 공산주의를 싫어 한다”고 천명--사회주의 인터내셔날 운동에서의 갈등
* 공산주의 이론은 결국 독제체제로 갈 수 밖에 없다는 예언의 적중--러시아 혁명의 증인이자 역사학자인 볼린Volin--에마 골드만E. Goldman 등 다양한 증인
* 아나키즘과 맑스주의자와는 긴 불화의 과정이 계속됨
4) 불평등에 대한 제한적 공격
* 극단적 평등주의 아님--불평등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 다양
* 기본적 필요에 따른 분배 주장
* 고드윈의 평등주의가 제일 강함--불평등은 공동체적 개체를 파괴하고 국가 유지의 수단--가난한 사람들의 이성을 마비
* 크로포트킨은 불평등을 극단적으로 비난하는 것을 주저하면서 아나키즘의 근본적인 원리를 따랐음
* 다양한 불평등에 관한 의견이 있는 이유--아나키스트들의 개인과 공동체에 대한 개념이 서로 다르기 때문--불평등의 해소 방안이 개인의 자주성을 훼손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
5) 테크놀로지에 대한 양가성
* 많은 아나키스트들은 산업 테크놀로지를 사회적 위계제도의 한 원인으로 보고 두려워 함--자연론적 사회관과 연결--인간의 자연성 파괴 위험
* 새로운 테크놀로지가 관리자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부하 직원을 종속시키기 위해 이용할 위험 큼
* 기계파괴주의자는 아님--기계의 효율성 인정-- 테크놀로지의 위험성을 극복 할 방법 모색
* 크로포트킨은 테크놀로지를 이용하여 좋은 하인으로 만들 계획 제시--소규모 작업장, 농업과 공업의 결합 등
5. 아나키즘의 변신과 분화
- 현대 아나키즘의 여러 모습-
* 아나키즘은 정치적 영역을 떠나 다양한 영역으로 파종되고 있음
* 아나키즘은 이념이나 제도를 넘어 개인과 집단의 생활양식으로 자리 잡고 있음
* 오늘날 아나키즘의 사상은 아나키즘의 이름을 떠나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음
1) 자주관리와 공동체 운동
* 다양한 자주 공동체 운동―목가적, 낭만적 성향―보수적 성향과 급진적 성향 혼재
* 이스라엘의 ‘기부츠’--자치공동체의 전범
* 스페인의 몬드라곤 공동체--대규모 협동조합--세계인의 관심대상 --생산과 효율 겸비
* 한국에서도 증가 현상
2) 참여 민주주의 구현과 직접 민주주의
* 계급적 틀에 벗어난 시민 운동--신사회운동
* 투표용지의 정치에 의구심--다양한 직접 참여 방법 모색
* 인터넷 등 정보사회에 있어 다양한 직접 정치 구현--전자민주주의 구현
* 정당없는 정치 시도--덴마크, 스웨덴, 스페인 등
3) 환경문제와 생태 아나키즘
* 에코 아나키즘--자연론적 사회관과 밀접
* 환경문제의 세 가지 영역에서 다양한 활동
과학기술적 영역
가치론적 영역
사회구조적 영역
* 환경문제의 선동가이자 채찍자
* 녹색 정치 지향
4) 자유교육과 아나키즘 교육론
* 국가주의 교육과 공교육에 대한 불신--18세기 고드윈 이래 굿맨, 일리히, 프레이리--‘학교는 죽었다’
* 자유학교의 지향--자발성, 자주성, 주체성
* 배움의 경멸이 결코 아님--학습자에 대한 존중과 인간 존엄성 구현
* 아나키즘 교육론은 현대 교육 현장에서 많이 적용되고 있음--창조적 교육 방향 제시
* 한국의 학벌사회에 많은 시사점을 줌
< 오늘날 아나키즘은 인간 삶의 양식과 방법에 많은 상상력을 제공해 주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