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자료
자료실 > 문서자료
이름 김창덕 이메일 guso9662@daum.net
작성일 2021-12-27 조회수 375
파일첨부
제목
하유 이종봉 서거 71주기 추모 학술회의 개회사(엄동일)

개 회 사

 

 

일제 강점기 나라의 주권 회복을 위해 지고지난의 길을 걸었던 많은 독립 운동가 중에는 친가, 외가, 처가를 가리지 않고 부자 형제들이 직접 결사의 항쟁에 뛰어 들었거나 혹은 그 뒷바라지를 한 집안이 적지 않습니다. 백사 이항복의 후손인 우당 이회영 6형제의 중국망명투쟁은 잘 알려져 있거니와, 충남 홍성의 백야, 시야 형제의 열혈 투쟁, 그리고 인천 장봉도 출신의 갑규, 을규, 정규 형제의 항일 투쟁도 돋보입니다.

 

이들의 공통된 특징은 일가의 안위와 부귀를 구하지 아니하고 온 일가가 빼앗긴 국권을 되찾기 위한 항일 투쟁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쥐를 실천한 점이며, 또 한가지는 이들이 단순한 의분으로 항일 투쟁에 뛰어든 것이 아니라 아나키즘적 신념으로 무장했던 사상투쟁가였던 점입니다.

 

, 이들의 항일 투쟁은 현실의 지배권력인 군국주의 일본의 패망을 위한 투쟁이었을 뿐만 아니라 더 근본적인 인간의 자유와 자주협동의 이상을 향한 투쟁이었음을 알게 합니다. 왜냐하면 이들이 국권을 회복한 이후에도 그 이상사회를 향한 끊임없는 노력을 경주했으며 그들의 후손들이 그 사업을 이어받아 지금도 활동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아나키즘의 새시대에의 복원력과 지속성을 의미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즉 아나키즘적 정신은 비록 형태는 바뀔지라도 영구히 지속될 것이며 그럼으로써 새 시대의 새로운 사상의 근본이 될 것입니다.

 

이런 점에서 우리가 할 일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역사기록에서 조명되지 못했던 독립운동가를 찾아 그들을 역사 위에 드러나게 하는 일과 또 하나는 그들의 정신을 오늘의 현실에 어떻게 구현하는가입니다. 이 일의 시작으로 오늘 하유 이종봉선생의 밝혀지지 않았던 일제 강점기의 투쟁을 드러내고자 합니다 하유 선생은 숙부인 회관, 우관에 가리어 그 활동이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몇 연구자들에 의해 그 일가의 일제하 투쟁 활동 규모가 밝혀짐을 기쁘게 생각합니다. 연구자들의 노고를 격려하며 이에 개회사를 대신합니다.

 

 

 

20211223

 

국민문화연구소 회장 엄동일

이전글 하유 이종봉 서거 71주기 추모 학술회의 유족 인사말(이원영)
다음글 이하유의 자유사회 운동과 청년들(이문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