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나키즘학교 강의자료(2025.06.26.)
한국의 아나키스트를 찾아
김 명 섭
(단국대)
1. 한국의 아나키즘 수용과 독립운동
가. 아나키즘 수용
- 1905년 신채호 幸德秋水 저작 섭렵, 1907년 조소앙 아주화친회 참여
- 1919년 의열단 창단 : 행동에 의한 선전, 허무주의
- 1920년 조선노동공제회 《공제》발간, 흑노회 결성
- 1921년 11월 흑도회 창립 ⇒ 1922년 북성회(공산계) ↔ 흑우회(아나계) 분화
- 1923년 신채호+류자명 <조선혁명선언> : 직접행동론, 파괴와 건설론, 박열 투쟁
- 1924년 이회영·류자명·이을규·이정규·백정기·정화암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결성
■ 1923년 당시 한국독립운동계 사상적 구분
|
구분
|
민족주의계
|
공산주의계
|
아나키즘계
|
|
중심인물
|
상해 임정
- 이승만?안창호
|
한인사회당, 조선공산당
- 이동휘?박헌영
|
의열단, 재중무련 -
이회영?신채호?류자명·박열
|
|
독립방략
|
자치론, 외교론, 준비론
|
전위정당 운동
|
민중직접혁명, 무장투쟁
|
|
조직노선
|
대통령?행정부 중심
|
철의 규율 공산당 중심, 코민테른 지도
|
자율자치조직, 자유연합주의
|
|
투쟁노선
|
외교론, 실력양성론
|
노동자 파업, 의회정치, 무장투쟁
|
의열투쟁, 국제연대투쟁
|
나. 아나키스트 독립운동
1) 1919~1930년 : 사상정립기
*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 : 민중에 의한 직접행동, 민중적 혁명과 신조선 건설
- 상해노동대학, 천주 민단편련처운동, 신민부 개편 : 독립기지 건설
* 이회영의 신사회 건설구상(1927년 10월)
- “자유평등의 사회적 원리에 따라서 국가와 민족간에 민족자결 원칙 지켜야”
- “정치구조는 지방분권적인 지방자치제, 자치제 연합으로 중앙정치 구성.”
- “교육은 사회전체의 비용으로 부담 실시해야”
● 신채호·류자명 《조선혁명선언》(1923년)
|
내정 독립이나 참정권이나 자치를 운동하는 자가 누구냐?...강도 일본을 쫓아낼 것을 주장하는 가운데 또 다음과 같은 논자들이 있으니, 첫째는 외교론이다...둘째는 준비론이다....우리는 ‘외교’·‘준비’ 등의 미몽을 버리고 민중 직접혁명의 수단을 취함을 선언하노라...민중이 곧 자신을 위해하는 혁명이기에 민중혁명, 직접행동이라 부르며...
|
민중직접혁명론
|
|
혁명의 길을 파괴부터 개척할지니라. …첫째는 이민족의 통치를 파괴하자 함이다. 둘째는 특권계급을 파괴하자 함이다.……셋째는 경제 약탈제도를 파괴하자 함이다. …넷째는 사회적 불평등을 파괴하자 함이다. … 다섯째는 노예적 문화 사상을 파괴하자 함이다.
|
파괴론
|
|
‘고유한 조선의’, ‘자유로운 조선민중의’, ‘민중적 경제의’, ‘민중적 사회의’, ‘민중적 문화의’ 조선을 ‘건설’하기 위하여 ‘이민족 통치의’, ‘약탈제도의’, ‘사회적 불평등의’, ‘노예적 문화 사상의’ 현상을 타파하는 것이다. 그런즉 파괴적 정신이 곧 건설적 주장이다.
|
건설론
|
* 1926년 의열단 20개조 강령
|
1. 조선민족 생존의 적인 일본제국주의의 통치를 근본적으로 타도, 조선민족 자유독립 완성함.
2. 봉건제도 및 일체 반혁명세력을 삭제(削除)하고 진정한 민주국을 건립함.
3. 소수인이 다수인을 박삭(剝削)하는 경제제도를 소멸시키고 조선인 각개의 생활상 평등의 경제조직을 건립함.
4. 민중경찰을 조직하고 민중무장을 실시할 것
7. 1군(郡)을 단위로 하는 지방자치를 실시함.
8. 여자의 권리를 정치?경제?교육?사회상 남자와 동등하게 함
9. 의무교육과 직업교육을 국가의 경비로 실시함 .... (중략)
18. 소득세는 누진율로 징수함.
|
2) 1931~1936년 : 조직투쟁기
- 남화한인청년연맹(류자명), 항일구국연맹 ; 친일파 척결, 일본 영사관 투탄, 육삼정의거
* 1931년 남화연맹 선언문에서 그린 ‘아나르코 꼬뮨(무정부 공산사회)’
<탈환의 주장>
|
1. 농업과 공업을 과학적으로 종합하여 가장 유리하게 할 수 있는 농촌의 형식을 갖춘 도시이고, 또한 도시 비슷한 편리한 농촌이 각각 자유로이 연합하여 된 지구상의 예술적 사회가 됨.
2. 각인의 자유의지로서 선택한 사회를 만들어 또한 자유로이 일을 맡아 할 수 있는 사회, 그러므로 지능노동과 육체노동의 구별이 없어지고 각인의 마음껏 개성을 신장시킬 수 있어 누구나 일하는 것을 싫어하는 것이 없는 사회.
3. 임금제도가 없는 사회.
4. 위도덕의 압박을 받아서 다만 양친뿐인 하등의 의식 없는 소년·소녀를 결합시키는 결혼제도가 소멸된 사회.
5. 한국인은 조선민족일 뿐만 아니라, 지구상의 한 지방인 조선에서 성장한 인류인 까닭에 타민족이 오는 것을 거절해서는 안되고, 또 결코 민족을 침략하여 자민족의 우월을 자랑해서는 안되는 사회.
6. 무장은 원칙상 불필요하다. 그러나 자유·평등의 공산 농촌을 파괴하기 위해 구성된 군대가 세상에 존재하는 한 상당한 무장이 필요함... 장년자는 1선에 진출하고 노인은 후방에서 일하고, 여자는 간호와 식량을 위해서 일하고, 전체를 호위하기 위한 상호부조의 방위를 한다.
|
3) 1937~1945년 : 연합투쟁기
- 조선민족전선연맹 결성(조선민족혁명당 + 조선혁명자연맹 + 조선민족해방운동자동맹)
* 조선민족전선연맹 기본강령 (1938.4.10.)
|
① 일본 제국주의를 타도하고 조선 민족의 진정한 민주주의 독립국가를 건설한다.
② 국민의 언론·출판·집회·결사·신앙의 자유를 확실히 보장한다.
③ 일본 제국주의와 매국적 친일파의 일체 재산을 몰수한다.
④ 근로대중의 생활을 개선한다.
⑤ 국가경비로서 의무교육 및 직업교육을 실시한다.
⑥ 정치·경제·사회상 남녀평등 권리를 확보한다.
|
- 1938.10.10. 조선의용대 창립(대장 김원봉, 류자명·김성숙·김학무+중국인 5명 지도위원)
- 한국청년전지공작대(나월환, 이하유) ⇒ 광복군 제5지대(1941.1) ⇒ 2지대(1942.3)
- 좌우합작 임시정부에 참여 : 류자명, 유림
2. 해방 후 현대 아나키스트들
가) 현대 아나키즘 조류
-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고드윈, 막스 스튀르너) : 개인의 절대적 자유 추구
- 생디칼리즘(블랑키) : 노동자협동조합이 정부와 시장을 대체
- 아나르코 꼬뮤니즘(크로포트킨) ; 생산수단의 공유와 사회연대로 신사회건설
- 에코 아나키즘(북친, 그린피스) ; 자연에 대한 인간의 권위와 질서 반대
- 아나르코 페미니즘(골드만) : 가부장과 성적차별 철폐, 여성해방·평등 주장
* 에스페란토(자멘호프) : 언어제국주의 반대, 국제평화주의(1907년~)
나) 현대 한국 아나키스트들
● 유림(1894~1961)
? 경북 안동 출생, 중국 四川省 成都대학 수학
1929년 조선공산무정부주의자연맹 결성, 투옥 후 1937년 출옥
1942년 조선혁명자연맹 대표로 임시정부 참여, 국무위원으로 건국강령 수개
한국적 아나키즘 시도 “강제권력을 배격이지 무정부주의자가 아니다”
? 아나키즘 본령 일탈 ? 혁신정당 추구, 아나 사상의 선구적 실천
- 1946년 2월 경남무정부주의대회 ? 전국아나키스트대표자대회(4.20, 안의)
- 독립노농당 창립(1946.5.10.) : 완전 자주독립, 근로대중의 최대복리, 진정한 민주주의, 평등호조의 합작 ? 단독정부 수립 반대, 통일국가 건설 : 반맑스 자유사회주의자
- 1950년 5.30 선거 참여(낙선), 한국민주주의자총연맹 조직, 4.19 혁명 참여
● 이정규(1897~1984)
? 경기도 부천군 장봉리 출생, 인천상업학교 수학
일본 경응의숙 이재학과 → 3.1운동 참가후 중국 망명 북경대 경제학과
북경대 재학중 이회영·이석증·노신·에르셍코 등에 아나키즘 수용
재중국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 천주 농민자위운동, 동방아나연맹 참가
피검 3년 옥고, 1934년 제일루사건 재수감, 광산업 종사
? 개량주의 ? 先 농민 노동자 조직 後 민주사회적 정당 조직
- 1945.9.27. 자유사회건설자연맹 조직 “독재정치 집산주의제도 배격, 상부상조 지방자치”
- 1946.4.21. 전국아나키스트대표자대회, 농민·노동자자치연맹 조직
- 1947년 국민문화연구소 설립 : 신생활운동, 4.19 대학교수단 주도, 성균관대 총장
- 민주사회주의 연구 : 자유합의조직, 전국농촌운동자협의회 창립 : 수산운동
● 원심창(1906~1971)
? 재일 흑우회 재건, 흑우연맹 - 반일 반공산주의 활동
- 1932년 육삼정의거로 투옥, 12년 수감 후 1945년 10월 10일 석방
? 해방후 재일민단 창단 주역, 평화통일운동
신조선건설동맹 ? 윤봉길·이봉창·백정기 유해봉환
1948년 재일본대한민국거류민단 창립, 사무총장 역임
1951년 단장 역임 : 재일학도의용군 672명 참전, 93만엔 모금
남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 : “민족대동단결, 남북 자유총선거, 통일독립 국제보장”
1959년《통일일보》창간, 통일연감, 영자지 《원토리아》발간
● 하기락(1912~1997)
? 경남 안의 출생, 와세다대학 철학과 졸업
1939년 早稻田대학 철학 전공, 동창회에서 항일지도로 6개월 수감
1945년 농민협동조합장 , 자유사회건설자연맹 가입, 독립노농신문 편집
1952년 안의고등학교 설립 이사장, 경북대 철학과 교수
1964년 찰학박사 취득, 한국철학연구회 회장, 계명대 교수, 자주인연맹 회장
크로포트킨 『상호부조론』, 『전원·공장·작업장』, 『근대과학과 아나키즘』번역
다니엘 게랑,『현대아나키즘』번역
1978년 『한국아나키즘운동사』책임집필, 『조선철학사』(1992)
“아나키는 무질서가 아니라 도리어 고도의 질서다. 남을 다스리는 치인의 질서가 아니라 스스로 다스리는 자율·자치의 질서다.”
3. 한국 아나키즘 연구의 과제
(1) 한국적 아나키즘 정체성 확립 필요
? 이회영·신채호·류자명·박열 자유공동체사상 정립 => 반제국 자주독립, 반공산 자유연합, 평화
? 미수훈 이정규, 진우연맹(김정근),흑기연맹(홍진유),흑우연맹(오치섭), 남화연맹 명예 회복
? 원심창-평화통일운동, 유림.양일동-혁신정치운동, 하기락-세계평화운동
(2) 21세기 중앙집권주의, 자본주의, 공산주의를 넘어선 대안담론 필요
? 무정부주의(무질서) ⇒ 아나키즘, 자유연합주의, 자유공동체사상 정립
? 중앙집권·극우파시즘·공산패권주의 ⇒ 자율 자치 분권, 지방자치-연방제 연합주의, 반전쟁
? 신자본, 신자유주의 ⇒ 노동자.농민 직접생산-공동소유, 협동조합 추구
? 친환경, 소수자 권익 옹호
|